nestJS14 Nest.js : AWS S3 Presigned url 사용하기 - 1 Nest.js에서 AWS S3의 presigned url을 발급받아 사용해보려고 한다. Presigned url 이란? 말 그대로 미리 서명된 url이다. 서버에서 AWS S3에 요청하여 presigned url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렇게 발급받은 presigned url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S3로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Presigned url을 사용하는 이유 사용자가 프로필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일반적인 로직을 생각해보자. 1. 사용자가 업로드할 이미지를 선택한다. 2. 클라이언트 -> 서버로 이미지 업로드 요청을 한다. 3. 서버 -> S3로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4. DB의 사용자 프로필 url을 업로드한 이미지의 url로 update한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 2023. 12. 19. #1. Nestia : 네스티아를 배워보자 - 초기 설정 우선, 본 포스팅에 앞서 네스티아란 nest.js(node.js)쪽에서 되게 유명하신 삼촌님이라는 분이 계신데 그 분이 만드신 라이브러리이다. 내가 네스티아를 배우려고 하는 이유를 말해보자면, 아래와 같은 장점들이 있어서이다. (아직 사용해보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한다) 1.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언어가 같다는 이점을 극한으로 활용해서 서버 개발자가 SDK를 배포하고, 클라이언트 개발자가 해당 SDK를 활용하여 타입을 중복으로 정의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2. Swagger 문서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3. Class-validator, Class-transformer를 사용하는 것 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Typia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아직 내가 본격적으로 해본 게 아니라서 위의 세 가.. 2023. 7. 2. #11-2. 기초부터 따라하는 Nest.js : Join 해당 포스팅은 nest.js 9.0.0 버전, typeorm 0.3.x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글은 작성자의 주관이 100% 담겨있기 때문에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pre. 터미널을 켜고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https://suloth.tistory.com/44 #0-1. 기초부터 따라하는 nest.js : 터미널 키는 법 + 터미널에서 작업 폴더 이동 윈도우 윈도우는 윈도우+R 버튼을 누른 후, cmd 를 입력하여 터미널을 킵니다. 혹은 윈도우 버튼을 눌러서 검색창에 cmd를 검색하면 터미널이 나올텐데 그걸 실행시켜주시면 됩니다. Mac OS Mac의 경 suloth.tistory.com 위의 링크의 내용을 참고하여 study 폴더로 이동해줍니다. 그리고 code . 명령어를 통해 vs.. 2023. 5. 15. #11-1. 기초부터 따라하는 Nest.js : Comment CRUD 해당 포스팅은 nest.js 9.0.0 버전, typeorm 0.3.x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글은 작성자의 주관이 100% 담겨있기 때문에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pre. 터미널을 켜고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https://suloth.tistory.com/44 #0-1. 기초부터 따라하는 nest.js : 터미널 키는 법 + 터미널에서 작업 폴더 이동 윈도우 윈도우는 윈도우+R 버튼을 누른 후, cmd 를 입력하여 터미널을 킵니다. 혹은 윈도우 버튼을 눌러서 검색창에 cmd를 검색하면 터미널이 나올텐데 그걸 실행시켜주시면 됩니다. Mac OS Mac의 경 suloth.tistory.com 위의 링크의 내용을 참고하여 study 폴더로 이동해줍니다. 그리고 code . 명령어를 통해 vs.. 2023. 5. 15. 이전 1 2 3 4 다음